티스토리 뷰

반응형

엑셀은 날짜 및 시간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분석하는 데 강력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특히 날짜 계산 함수를 활용하면 날짜 간의 차이, 특정 날짜로부터 경과일 계산, 특정 월의 마지막 날짜 구하기 등 다양한 날짜 관련 계산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습니다. 엑셀에서 자주 사용되는 날짜 계산 함수들을 기능별로 분류하여 상세히 설명하고, 실무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꿀팁과 주의사항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엑셀 날짜 계산
엑셀 날짜 계산

 

 

목차

     

     

     

    1. 기본적인 날짜 계산 함수

     

     

    엑셀에서 날짜는 숫자 형태로 저장되므로, 기본적인 사칙연산을 통해 날짜 계산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엑셀은 날짜 데이터를 더욱 편리하게 다룰 수 있도록 다양한 날짜 함수를 제공합니다.

    함수 기능 사용 예시 수식 결과
    TODAY() 오늘 날짜를 표시합니다. (컴퓨터 시스템 날짜 기준) 오늘 날짜 입력 =TODAY() 2025-02-19
    NOW() 현재 날짜와 시간을 표시합니다. (컴퓨터 시스템 날짜 및 시간 기준) 현재 날짜 및 시간 입력 =NOW() 2025-02-19 15:19
    DATE(년, 월, 일) 년, 월, 일 정보를 이용하여 날짜 데이터를 만듭니다. 2025년 3월 15일 날짜 데이터 만들기 =DATE(2025, 3, 15) 2025-03-15
    YEAR(날짜) 날짜 데이터에서 년도만 추출합니다. 2025년 2월 19일에서 년도 추출 =YEAR(TODAY()) 2025
    MONTH(날짜) 날짜 데이터에서 월만 추출합니다. 2025년 2월 19일에서 월 추출 =MONTH(TODAY()) 2
    DAY(날짜) 날짜 데이터에서 일만 추출합니다. 2025년 2월 19일에서 일 추출 =DAY(TODAY()) 19

    2. 날짜 차이 계산 함수

     

     

    두 날짜 사이의 간격을 계산해야 할 때 유용한 함수들입니다.

    함수 기능 사용 예시 수식 결과
    DATEDIF(시작일, 종료일, 단위) 두 날짜 사이의 간격을 지정된 단위(일, 월, 년)로 계산합니다. 2025년 1월 1일부터 오늘까지의 경과 일수 계산 =DATEDIF("2025-01-01", TODAY(), "d") 50
    DAYS(종료일, 시작일) 두 날짜 사이의 일수 차이를 계산합니다. (종료일 - 시작일) 2025년 2월 28일과 2025년 2월 1일의 일수 차이 계산 =DAYS("2025-02-28", "2025-02-01") 27
    DAYS360(시작일, 종료일, [방식]) 1년을 360일(30일 기준 12개월)로 계산하여 두 날짜 사이의 일수 차이를 계산합니다. (주로 회계 계산에 사용) 2025년 1월 1일부터 2025년 3월 1일까지의 DAYS360 일수 차이 계산 =DAYS360("2025-01-01", "2025-03-01") 60
    NETWORKDAYS(시작일, 종료일, [휴일]) 두 날짜 사이의 전체 작업 일수를 계산합니다. (주말 제외, 휴일 선택적으로 제외 가능) 2025년 2월 1일부터 2025년 2월 28일까지의 주말 제외 작업 일수 계산 (휴일 미지정) =NETWORKDAYS("2025-02-01", "2025-02-28") 20
    NETWORKDAYS.INTL(시작일, 종료일, [주말], [휴일]) NETWORKDAYS 함수와 유사하지만, 주말 기준을 사용자 정의할 수 있습니다. 2025년 2월 1일부터 2025년 2월 28일까지의 금, 토 주말 제외 작업 일수 계산 (휴일 미지정) =NETWORKDAYS.INTL("2025-02-01", "2025-02-28", 16) 21
    WORKDAY(시작일, 날짜 수, [휴일]) 시작일로부터 지정된 작업 일수만큼 경과한 날짜를 계산합니다. (주말 제외, 휴일 선택적으로 제외 가능) 오늘부터 10 영업일 후 날짜 계산 (휴일 미지정) =WORKDAY(TODAY(), 10) 2025-03-05
    WORKDAY.INTL(시작일, 날짜 수, [주말], [휴일]) WORKDAY 함수와 유사하지만, 주말 기준을 사용자 정의할 수 있습니다. 오늘부터 금, 토 주말 제외 10 영업일 후 날짜 계산 (휴일 미지정) =WORKDAY.INTL(TODAY(), 10, 16) 2025-03-06

    3. 날짜 연산 및 특정 날짜 계산 함수

     

     

    특정 날짜를 기준으로 날짜를 더하거나 빼거나, 특정 월의 첫날/마지막 날짜 등을 계산하는 함수들입니다.

    함수 기능 사용 예시 수식 결과
    EDATE(시작일, 개월 수) 시작일로부터 지정된 개월 수 이전 또는 이후의 날짜를 반환합니다. 오늘 날짜로부터 3개월 후 날짜 계산 =EDATE(TODAY(), 3) 2025-05-19
    EOMONTH(시작일, 개월 수) 시작일로부터 지정된 개월 수 이전 또는 이후 달의 마지막 날짜를 반환합니다. 오늘 날짜가 속한 달의 마지막 날짜 계산 =EOMONTH(TODAY(), 0) 2025-02-28
    DATEVALUE(날짜 텍스트) 텍스트 형식으로 된 날짜를 날짜 데이터로 변환합니다. "2025-03-01" 텍스트를 날짜 데이터로 변환 =DATEVALUE("2025-03-01") 2025-03-01
    TIMEVALUE(시간 텍스트) 텍스트 형식으로 된 시간을 시간 데이터로 변환합니다. "15:30:00" 텍스트를 시간 데이터로 변환 =TIMEVALUE("15:30:00") 15:30:00 (오후 3:30)

    4. 날짜 표시 형식 변경

    엑셀에서는 날짜 데이터를 다양한 형식으로 표시할 수 있습니다. 셀 서식 설정을 통해 원하는 날짜 표시 형식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 셀 서식 설정 방법
      1. 날짜 형식을 변경할 셀 또는 셀 범위를 선택합니다.
      2.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고 "셀 서식"을 선택하거나, 단축키 Ctrl + 1을 누릅니다.
      3. "셀 서식" 대화 상자에서 "표시 형식" 탭을 선택합니다.
      4. "범주"에서 "날짜"를 선택하고, "형식" 목록에서 원하는 날짜 형식을 선택합니다.
      5. "확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 자주 사용되는 날짜 표시 형식 예시
      • yyyy-mm-dd (예: 2025-02-19)
      • yyyy년 mm월 dd일 (예: 2025년 02월 19일)
      • mm/dd/yyyy (예: 02/19/2025)
      • dd-mmm-yy (예: 19-Feb-25)
      • yyyy년 m월 d일 (예: 2025년 2월 19일)

    5. 날짜 계산 함수 활용 시 주의사항

    • 날짜 데이터 형식 확인: 날짜 계산 함수를 사용하기 전에 셀에 입력된 데이터가 엑셀에서 날짜 데이터로 인식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텍스트 형태로 입력된 날짜는 DATEVALUE 함수 등을 사용하여 날짜 데이터로 변환해야 합니다.
    • 날짜 서식 설정 주의: 계산 결과가 의도치 않게 표시될 경우, 셀 서식 설정을 확인하여 날짜 형식이 올바르게 지정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 DATEDIF 함수 단위 선택: DATEDIF 함수에서 단위를 잘못 지정하면 원치 않는 결과가 나올 수 있으므로, "d", "m", "y" 등 단위를 정확하게 선택해야 합니다.
    • NETWORKDAYS, WORKDAY 함수 휴일 설정: NETWORKDAYS, WORKDAY 함수에서 휴일을 제외하려면 휴일 날짜 목록을 정확하게 지정해야 합니다. 휴일 목록을 생략하면 주말만 제외하고 계산합니다.
    • 윤년 및 월말 처리: 엑셀 날짜 함수는 윤년 및 월말을 자동으로 처리하므로, 별도로 고려할 필요는 없지만, 계산 결과가 예상과 다를 경우 윤년이나 월말이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맺음말

    엑셀 날짜 계산 함수는 날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분석하는 데 필수적인 기능입니다. 본 가이드에서 소개된 다양한 날짜 함수와 활용 팁을 숙지하여 엑셀 실무 능력을 향상시키고, 날짜 관련 업무 효율성을 높이시길 바랍니다.

    Q&A

    Q1: 엑셀에서 오늘 날짜와 현재 시간을 동시에 표시하는 함수는 무엇인가요?

    A: 엑셀에서 오늘 날짜와 현재 시간을 동시에 표시하는 함수는 NOW() 함수입니다. =NOW() 를 셀에 입력하면 현재 날짜와 시간이 표시됩니다.

    Q2: 두 날짜 사이의 개월 수를 정확하게 계산하는 함수는 무엇인가요?

    A: 두 날짜 사이의 개월 수를 정확하게 계산하려면 DATEDIF 함수를 사용하고, 단위 인수에 "m" 을 지정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DATEDIF("2024-01-01", "2025-02-28", "m") 수식은 13개월을 반환합니다.

    Q3: 특정 날짜로부터 주말과 휴일을 제외한 영업일 기준으로 5일 후 날짜를 알고 싶습니다. 어떤 함수를 사용해야 하나요?

    A: 특정 날짜로부터 주말과 휴일을 제외한 영업일 기준으로 날짜를 계산하려면 WORKDAY.INTL 함수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주말 기준을 "토, 일" 로 설정하고, 휴일 목록을 지정하여 계산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시작일이 A1셀에 있고, 휴일 목록이 B1:B5 범위에 있다면 =WORKDAY.INTL(A1, 5, 1, B1:B5) 와 같이 수식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그 밖에 유용한 정보

     

     

    엑셀 단축키 모음 : 작업 효율 200%

    엑셀로 업무를 하다 보면 마우스 클릭만으로는 시간이 부족할 때가 있죠. 단축키 하나로 복잡한 작업을 순식간에 처리할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오늘은 엑셀 고수들이 애용하는 필수 단축

    1.easyfasthand.com

     

     

     

    엑셀 함수 정리: 기본부터 실무 필수 활용까지 완벽! ✨

    엑셀, 업무와 학업에서 빠질 수 없는 필수 도구죠! 여러분도 엑셀을 사용하는 도중, 수많은 '함수'에 한 번쯤 난관에 부딪힌 경험이 있을 거예요. 하지만 걱정하지 마세요! 오늘은 데이터 처리와

    1.easyfasthand.com

     

    반응형